제출일자 2016 –05-10
과제내용 임신한 여성의 상태와 태내발달 및 이후 발달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서론
임신한 여성의 상태와 태내 발달 이후의 발달 간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태내기에 일어나는 발달 현상에 대해서 알아야, 이후 여성의 임신 상태와 비교하여 서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여성의 임신 상태에 앞서 먼저 태내기의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고, 여성의 임신 상태의 환경에 대조하여 서술해보겠다.
수정
여성은 남성과 달리 태어날 때부터 난속에 약 20만 개의 미성숙된 난자를 갖고 있다. 사춘기 이후에 난자는 성숙과정을 거치고, 매월 양쪽 난소에서 번갈아 한번씩 배출된다. 이것을 월경이라고 한다. 이 월경 중에 만약 성숙한 남자의 정자를 만나게 된다면, 난관을 통해 자궁으로 수정체가 약 12시간에 걸쳐 이송되게 된다. 만약 한 달 이내에 수정을 하지 못하게 된다면, 수명을 다한 난자는 자궁을 지나 흘러내려, 내벽을 허물며 배출된다.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수정체를 수정란이라고 한다. 이 수정란은 원시적이며, 원초적인 생명의 시작이다. 만약 수정하는 상태가 24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과숙 상태라는 상태에서 수정에 실패하게 된다. 수정 순간부터 약 2000억개의 세포로 구성된 태아가 되기까지 대략 266일이 걸린다.
태내에 첫 안착을 한 수정란은 약 10-14일에 거쳐 안정적으로 안착을 시도한다. 이후 배아기를 거쳐 3주 초부터 8주 말까지 모든 중요 기관들을 형성하고, 심장이 뛰기 시작한다. 9주가 지날 때부터는 모든 주요 기관들이 기능을 하고, 태아가 급격하게 성장하는 시작한다. 각 시기와 발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배아기
착상에서 8주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으로 분화하여 발달하는데, 각 신경계, 장기, 사지, 눈코입 등등 기본적인 구성으로 분화한다. 배아는 자신의 혈액을 생성할 수 있고,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태아기
3-8주차를 거친 태아는 9주차부터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신체와 사지, 삼키기, 영야분의 조화, 배설과 같은 새로운 능력들을 습득하게 된다. 이때부터 남성과 여성으로 성적 분화 역시 시작하는데, 남성은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음경과 음낭, 고환을 만든다. 이것이 분비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여성의 생식기가 만들어진다. 이것은 초음파로 3개월 말쯤이면 탐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성별은 이미 미숙한 난소와 정자세포에서 포함하고 있는 내용이다. 4-6개월 차부터는 빨고, 삼키고, 우적거리고, 딸꾹질, 숨쉬기, 기침, 콧김을 뿜으며 자궁 밖으로 나가서도 생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태아의 움직임이 모체도 느낄 수 있게 되고, 6개월 말이면 태아의 시각과 청각이 형성된다. 약 22주-28주 사이부터는 자궁 밖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시기가 되는데, 성장이 지속되고 출생 후의 생활을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피부 아래에 지방층이 발달하고, 수면이 더 빈번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태내달달과 임산부의 상태의 관계성
임산부의 나이
임산부가 임신을 하기 가장 적절한 나이는 15-35세 사이이다. 이 시기를 지나고서 아이를 임신하게 되면 흔히들 노산 이라고 일컫는다. 물론 최근에 발표된 입장에서 보자면, 아이들은 엄마의 나이와 상태보다는 정자의 상태에 큰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여성에게서 아이들은 영양을 받으니, 여자의 나이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진한 임신선 터져버린살피부들 쳐저버린 가슴 기미와 주근깨 내나이에 걱정없을 주름걱정에 숱많던 머리숱이 한웅큼씩 계속 빠져나가 탈모같이 정수리와 헤어라인이 비어보이고 밤새는건 생각도할수없고 체력이 안따라주고 조금만 무리해도 관절들이 아프며 바람만쐬도 시린 내몸뚱이 잇몸도 붓고 내려앉고 이는흔들거리는 처녀시절몸과는 360도 정반대로 변해버린내몸 아가가이쁘니까 괜찮다하지만 남편이 괜찮다하지만 기분좋으라하는거다안다 내또래들과 달라져버린삶 내가 선택한삶이라 더 우울하다
임산부의 영양
임산부는 적어도 임신기간 동안에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 미네랄, 칼로리가 적절한 영양식을 섭취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몸이 으슬거리고 아프다고 하더라도 임산부는 절대 약을 먹어서 안된다는 불문율이 있다. 버틸 수 없을 때에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처방 받아야 한다. 최고의 배냇 상태를 보냈다고 하더라도, 약물에 노출된 아이들의 경우, 좋지 않은 환경에서 배내기, 태아기를 보낸 아이들보다 영아발달 평가에서 더 낮은 점수를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니 말이다. 즉, 아이들은 어머니들의 약물남용으로 인하여 피해를 볼 수 있는 위치라는 것이다.
3. 위의 영양 상태, 약물복용, 질병에 관해서는 아래의 표처럼 아이의 상태와 기형이 정해질 수 있다.
결론
태내에 아이가 발달함에 따라, 임산부의 상태를 곧이 곧대로 닮아간다. 임산부가 하는 생각과 스트레스, 질병, 약물복용은 더 이상 혼자의 몸으로 혼자 책임질 문제가 아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가 누군가에게 멀쩡하게 몸을 이어 받았고, 은혜를 받았다면 나 역시 나의 후대에게는 멀쩡한 몸을 물려줄 의무가 있다. 생명에 대한 경외를 져버리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예의로 임신한 상태일 때만큼은 임산부 스스로는 조심에 조심을 기하도록 하고, 그 주변인들은 임산부의 안정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참조
David R. Shaffer.발달심리학.박영스토리.2014
alan slater.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2014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안전관리자 2급팁 (1) | 2017.08.03 |
---|---|
용인민속촌ebs라디오 (0) | 2017.08.03 |
정신분석 이론 모형에서는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정신병리의 발달 (0) | 2017.08.01 |
파블로학습심리학 (0) | 2017.08.01 |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관련사례를 조사하시오. (0) | 2017.07.31 |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과거에 비해 달라진점은 무엇이며 달라진 이유를 쓰시오 (0) | 2017.07.31 |
스티브잡스와 말 (0) | 2017.07.31 |
스티브잡스의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0) | 2017.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