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소방안전관리자 2급팁

yourlullaby_ 2017. 8. 3. 09:26

01. 피난 설비이다

 

A. 피난기구
i. 종류; 구조대 / 완강기 / 간이 완강기(1회용) / 피난사다리 / 미끄럼대 / 피난교 / 미끄럼봉 / 피난로프 / 피난용 트랩 / 공기안전매트이다
ii. 의료시설엔 3층이상 건물이라도 완강기가 적응안된다

B. 인명구조기구: 방열복,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이다
C. 비상조명등 : 조도 1 럭스 이상, 유효작동시간 20분이다
D. 유도등 및 유도표지 :비상전원 자동전환 20분 / 지하상가 및 11층 이상 60분이다
  유도등의 3선식 배선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경우이다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이다
2.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 작동이다
3. 상용전원이 정전. 전원선이 차단이다

4. 수동으로 점등이다
5. 자동소화설비 작동시중지이다

비상전원 20분 이상 : 유도등, 비상콘센트, 스르링클러, 기타 등등이다
         10분 이상 : 자동화재 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자동화제 속보설비이다

02. 소화용수설비 :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저수조 그밖의 소화용수 설비이다

03. 소화 활동 설비 : 연3 제비무
A. 연결송수관 설비이다
i. 구성요소 : 송수구, 방수구, 방수기구함, 배관이다
B. 연결살수설비이다
C. 제연설비 : 거실-급,배기 방식 / 부속실 : 급기가압방식 이다
      차압 40Pa, SP 설치시 12.5 Pa <= 차압은 평상시 개념. 화재시가 아니다..
D. 비상콘센트설비이다
E. 무선통신보조설비이다
F. 연소방지설비: 지하구의 화재발생시 지상의 송수구를 통한다.송수. (송수구/배관/방수헤드)

제 6 편 : 방염 (1~2 문제 정도)
01.  방염 기준이다
1) 잔신시간 : 30초 이내이다
2) 탄화면적 : 50 c㎡, 길이 20 cm이다
3) 접염횟수: 3회이상이다
4) 발연량 : 400 이하이다
5) 잔염시간 : 20초 이내이다
02. 방염 실무이다


제 7 편 : 소방시설의 점검 실무 (5 문제 정도)
01.  소방시설의 자체 점검 제도이다
A. 자체점검의 구분 및 대상: 작동기능점검 / 종합정밀점검이다
B. 작동기능점검 : 결과를 2년간 자체 보관이다
C. 종합정밀점검 : 30일 이내 제출이다
D. 자체점검 미실시 :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이하의 벌금이다

E. 점검결과 거짓보고 200만원 과태료이다
F. 소방시설 등을 유지,관리하지 아니한 관계인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이다
02. 소화설비의 점검이다
03. 경보설비의 점검이다
04. 피난설비의 점검이다
05. 소화활동설비의 점검이다
06. 자체점검표 작성 요령이다

제 8 편 : 소방 계획의 수립, 자위 소방훈련 및 현장지휘 능력이다 (1~2 문제 정도)
01.  소방 계획의 수립이다
A. 소방계획 –예방계획 / 방어계획 / 교육훈련계획이다
B. 소방훈련종류 : 기초훈련, 부분훈련, 도상훈련, 종합훈련이다
※ “소방”이라는 글자가 나와야 관계가 있는것이다

02.  자위소방훈련 및 현장 지휘 능력이다

제 9 편 : 응급처치 요령  (3 문제 정도)
01.  응급 처치의 개요 : 기도확보 / 지혈처리 / 상처보호이다
02. 응급처치 요령
A. 화상 : 1도/  2도 수포발생 / 3도  피부변색이다
B. 심폐소생술 : 심정지 확인->119신고->가슴압박 30 + 인공호흡 2회한다.

제 10 편 : 소방안전 교육 (1~2 문제 정도)
01.  소방안전교육의 요령이다
A. 소방안전교육의 개요 : 7원칙 – 현실성,피교육자중심,동기부여, 목적. 실습, 경험, 관련성이다
B. 실기실습이다

02. 실기 실습
A. 소화기 실기 실습이다
B. 옥내소화전 실기 실습이다’
C. 자동화재탐지설비 실기 실습이다
D. 자위소방훈련 실기 실습이다

인이나 조직이 어떤 은유를 사용하는지를 보면 그들의 프레임을 알 수 있다.
우리 삶을 지배하는 가장 강력한 은유는 우리가 실감하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럽다.
마치 물고기가 물을 의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우리가 그 은유 속에 살고 있는 것 자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프레임을 바꾸고 싶다면 바로 그런 은유를 찾아내서 바꾸어야 한다.
A 환자는 검사 종료 직전에 8에서 6에 해당하는 극심한 고통을 경험하였고, 그 순간 바로 검사가 종료되었다. 반면 B환자의 경우는 중간에 8 정도의 큰 고통을 경험했으나, 그 이후에 조금씩 고통이 줄기 시작하여 6,5,3,2의 고통을 경험한 후 천천히 검사가 종료되었다.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으로 느꼈을 가능성이 높다.

우리의 하루를 마음대로 설계할 수 있다면 경험의 순서를 현명하게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안좋은 일과 좋은일을 한번씩 경험해야 한다면, 어떤 순서가 좋을까?’
심리적으로는 안 좋은일을 먼저 경험 하는게 좋다.

우리는 많은 고정관념의 프레임에 갇혀 있다. 외모, 학력 등이 만들어내는 고정관념에서 자유롭기가 쉽지 않다.
고정관념이라는 폭력적인 프레임을 거부하고, 있는 그대로의 타인과 만나는 일은 일생을 걸고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이렇게써도 2000자가 안넘는구나 뭔말을 써야하나 오늘 일찍일어났는데도 피곤하네 5시에 일어나기란 참힘들다 힘들다 생각하면 더힘들다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안힘들다 어차피 일어날꺼 긍정적으로일어나자 일찍일어나서 할수잇는일도 많아졋고 조금 밀리긴했지만 해야할 일을 하는것 뿐이니 이거 끝나고 나서 과외왕 업로드 하고 탄산수 전화할것이다 그리고html 복습할것이다 그리고 뭐해야하나 갑자기 머리가 멍하네 뭐였지 노트북보고와야지